토지 (소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토지》는 구한말부터 광복까지 최참판 일가와 이용 일가의 가족사를 중심으로 한국 근현대사를 담아낸 박경리의 대하소설이다. 600명이 넘는 등장인물들의 삶을 통해 동학 농민 운동, 일제강점기, 3·1 운동 등 주요 역사적 사건과 시대상을 보여준다. 1974년 영화, 1979년, 1987년, 2004년 드라마, 만화, 국악 뮤지컬 등으로 각색되었으며, 박경리의 문학 세계를 기리는 토지문화관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토지 (소설) - 박경리
박경리는 1926년 통영에서 태어나 한국 전쟁 중 남편과 아들을 잃는 아픔을 겪었으며, 소설가 김동리의 추천으로 등단하여 《김약국의 딸들》, 대하소설 《토지》 등 개인적인 경험과 시대적 아픔을 담은 작품을 발표하고, 말년에 폐암으로 투병하다 2008년 사망한 소설가이다. - 토지 (소설) - 하동 화사별서
하동 화사별서는 조선 개국공신 조준의 후손 조재희가 조성한 별서로, 동학농민운동으로 소실된 후 재건되어 안채 등을 포함한 별서로 완성되었으며, 박경리의 소설 《토지》에 등장하는 최참판댁의 배경이 된 하동의 대표적인 가옥이다. - 박경리의 소설 - 김약국의 딸들
《김약국의 딸들》은 구한말 통영을 배경으로 김약국 일가의 몰락과 다섯 딸들의 비극적인 삶을 그린 소설이며, 여성의 억압, 근대화 과정의 갈등, 친일파의 횡포 등 사회적 문제를 다룬다.
토지 (소설) - [서적]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제 | 토지 |
저자 | 박경리 |
장르 | 대하소설 |
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출판 | 1969년 - 1994년 |
등장인물 | |
주요 등장 인물 | 최서희 길상 김두수 최치수 윤씨부인 김평산 귀녀 임이네 강포수 조준구 양현 유인실 김환 용이 |
배경 | |
시대적 배경 | 구한말 ~ 일제강점기 |
공간적 배경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평사리 간도 러시아 일본 |
파생 작품 | |
드라마 | 토지 (1987, KBS1) 토지 (2004, SBS) |
영화 | 토지 (1974) |
뮤지컬 | 뮤지컬 토지 |
기타 정보 | |
디지털 하동 문화 대전 | 디지털하동문화대전 '하동군 최참판댁' |
2. 줄거리
《토지》는 1894년부터 1945년까지, 구한말부터 일제강점기를 거쳐 광복에 이르기까지 최참판 일가와 이용 일가의 가족사를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소설은 총 5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부는 시대적 배경과 주요 사건을 중심으로 이야기가 펼쳐진다.
1부에서는 평사리를 배경으로 최참판 일가의 몰락, 2부에서는 만주 용정으로 배경을 옮겨 최서희의 복수와 귀향을 다룬다. 3부에서는 만주, 일본 도쿄, 서울과 진주를 중심으로, 4부에서는 김길상의 출옥, 기화의 죽음, 오가다 지로와 유인실의 갈등을 그린다. 5부에서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한국인들의 고난과 해방에 대한 기다림, 이상현, 이양현, 최윤국, 송영광의 삼각관계를 주요 사건으로 다룬다.
소설은 일본의 무조건 항복을 알리는 라디오 방송을 들은 이양현이 최서희에게 달려와 그 소식을 전하는 것으로 끝난다.
2. 1. 1부: 몰락하는 최참판댁 (1897년 ~ 1908년)
1897년 한가위, 평사리를 배경으로 이야기가 시작된다. 지주 최참판댁과 소작인들의 삶, 그리고 최참판댁의 몰락 과정을 그린다. 최치수의 죽음, 윤씨 부인의 죽음, 조준구의 재산 강탈, 최서희의 간도 이주 등이 주요 사건이다.[7]2. 2. 2부: 용정에서의 재기 (1911년 ~ 1917년)
중국 동북부의 용정으로 배경을 옮겨,[8] 최서희가 재산을 모으고 조준구에게 복수하는 과정을 그린다. 최서희는 전 하인이었던 김길상과 결혼하여 다시 부유해지고 고향으로 돌아온다.[7]2. 3. 3부: 격동의 시대 (1919년 ~ 1929년)
3부는 용정, 도쿄, 서울, 진주를 배경으로 이야기가 전개되며, 김환은 감옥에서 죽는다.[4] 최서희는 가족의 재산을 되찾는다. 2부와 3부에서는 일제 강점기 동안 해외에서의 독립 운동, 재외 한국인들 간의 갈등, 지식인들이 겪는 고난을 상세히 묘사한다.[4]2. 4. 4부: 시련과 갈등 (1930년 ~ 1939년)
김길상이 출옥하고 탱화가 완성되며, 기화(봉순이)가 죽음을 맞이한다. 오가다 지로와 유인실 사이의 사랑과 갈등이 그려진다. 2세대 인물인 이 용의 아들 이홍과 최서희와 김길상의 두 아들 최환국, 최윤국이 이야기 전면에 등장하며, 이들의 이야기는 한국의 역사, 예술, 문화를 보여준다.[4]2. 5. 5부: 광복을 향한 기다림 (1940년 ~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 중 한국인들의 고난과 광복에 대한 열망을 그리고 있으며, 주요 사건으로는 이상현과 기화의 딸 이양현, 최윤국, 그리고 송관수의 아들 송영광의 삼각관계가 있다.[9] 소설은 이양현이 라디오에서 일본의 무조건 항복 소식을 듣고 최서희에게 달려가는 장면으로 끝을 맺는다.[9]3. 등장인물
소설에는 600명이 넘는 다양한 인물들이 등장하며, 이들의 삶을 통해 시대상을 반영한다. 주요 등장인물로는 최 참판 댁 식구들인 윤씨 부인, 아들 최치수, 손녀 최서희가 있다. 또한 김길상, 김환 등 최 참판 댁과 연관된 평사리 주민, 지식인, 민족운동가들이 등장한다.[10] 작가는 주갑이, 조병수, 송관수, 모화, 몽치 등 고난을 사랑으로 승화하고, 극심한 현실 속에서도 강한 삶의 의지를 보여주는 매력적인 인물들을 창조했다. 하지만 조준구, 김두수와 같은 부정적인 인물들도 등장한다.[10]
3. 1. 주요 인물
다음은 소설 《토지》의 주요 등장인물에 대한 설명이다.이름 | 출생 연도 | 설명 |
---|---|---|
최서희 | 1892년 | 본 작품의 주인공. 최치수의 외동딸.[38] 환국과 윤국의 어머니. |
김길상 | 1885년 | 고아. 연곡사 우관(牛觀) 주지에게 길러짐. 최참판 댁에서 일함.[40] |
봉순 / 기화 | 1890년 | 최참판 댁에서 바느질을 하는 여인의 딸. 노래를 잘 부름.[41] |
이상현 | 1891년 | 이동진의 아들.[42] |
김두수 / 김거복 | 1886년 | 최치수를 살해한 김평산의 아들.[43] |
최치수 | 1854년 | 서희의 아버지. 윤씨 부인의 적자로, 최참판 댁 당주인 양반. 김평산에게 살해당함.[44] |
구천 / 김환 | 최참판 댁 머슴으로 독립운동가. 동학의 장군 김개주와 윤씨 부인의 서자. 어린 시절 길상에게 글을 가르침. | |
별당 아씨[38] | 1864년 | 서희의 어머니. 최치수의 아내. 딸과 남편을 버리고 구천 / 김환과 도망침.[45] |
윤씨 부인 | 1842년 | 최치수의 어머니.[46] |
조준구 | 1852년 | 최치수의 육촌. 몰락한 양반. 서울에서 평사리의 최참판 댁으로 옴.[47] |
이룡 | 농민. 홍의 아버지.[48] | |
김영팔 | 농민. 이룡의 친구.[49] | |
윤보 | 대목.[50] 의병으로 독립운동에 가담. | |
김훈장 | 몰락한 양반. 마을 서당 훈장.[51] | |
이동진 | 최치수의 친구. 이부사 댁 당주인 양반. 독립운동에 참여.[52] | |
공 노인 | 간도 상인. 서희를 돕고, 준구를 함정에 빠뜨림. 본명은 공필선.[53] | |
송관수 | 동학 당원. 백정의 딸과 결혼하여 형평사 운동에 참여. 영광의 아버지. |
이 외에도 주갑이, 조병수, 송관수, 모화, 몽치 등 고난을 사랑으로 승화시키고, 극심한 현실 속에서도 강한 삶의 의지를 보여주는 매력적인 인물들이 등장한다. 하지만 조준구, 김두수와 같은 부정적인 인물들도 등장한다.[10]
3. 2. 최참판댁 사람들
- 윤씨부인: 최서희의 할머니. 천주교 신자로, 1866년 병인박해 때 남원에서 하동 평사리로 피신했다.[46] 1842년 출생.
- 최치수: 최서희의 아버지. 1854년 출생. 병약하여 제 몸도 돌보지 못하는 최참판 댁 당주인 양반. 김평산에게 살해당한다.[44]
- 김개주
- 김환 (하인 구천이): 윤씨부인과 김개주의 아들. 윤씨 부인 댁에서 하인으로 들어와 명석한 머리로 일을 해낸다. 동학 장군 김개주와 윤씨 부인의 서자. 어린 시절 길상에게 글을 가르쳤다.
- 별당 아씨: 최서희의 어머니. 1864년 출생. 최치수의 아내. 딸과 남편을 버리고 구천/김환과 도망쳤다.[45]
- 조준구: 최서희의 친척. 1852년 출생. 몰락한 양반으로, 서울에서 평사리의 최참판 댁으로 왔다.[47]
- 홍씨부인: 조준구의 처
- 조병수: 조준구의 아들
- 삼월이
- 봉순네
- 간난할멈
- 김서방
- 김서방댁
3. 3. 평사리 사람들
- 이용
- 공월선
- 강청댁: 이용의 처
- 칠성이
- 임이네: 칠성의 처
- 강포수
- 귀녀
- 김평산
- 함안댁: 김평산의 처
- 막딸네
- 두만네
- 또출네
3. 4. 서희 가족
최서희는 최치수의 외동딸로 1892년 대한제국 말기에 태어나 환국과 윤국 두 아들을 두었다.[38][39] 서희의 가족 구성원은 다음과 같다.이름 | 관계 | 비고 |
---|---|---|
최환국 | 서희의 맏아들 | |
최윤국 | 서희의 둘째 아들 | |
황덕희 | 서희의 맏며느리 | |
황태수 | 황덕희의 아버지 | |
장연학 | 서희 집의 집사 | |
이양현 | 상현과 봉순의 딸 |
3. 5. 그 외 인물
4. 작품 배경
《토지》는 조선 말기부터 일제강점기 말까지 50년에 걸친 최씨 가문의 역사를 연대기적으로 기록한 소설이다. 최씨 가문의 연대기이자 한국인이 겪었던 고난을 생생하게 묘사하는 역사 소설이면서 인간의 본성을 탐구하는 문학 작품이기도 하다.[11] 제목인 "토지"가 암시하듯이 한국의 역사와 사회, 즉 한국의 땅 자체가 주요 등장인물이자 주요 주제로 볼 수 있다. 최씨 가문의 몰락과 재기는 실질적으로 한국인의 몰락과 부흥을 의미하며,[12] 작가 박경리가 이 작품 전체를 통해 강조하는 것은 사랑과 생명 존중의 중요성이다.[13]
소설은 경상남도 하동군 평사리 대지주인 최씨 일가와 평사리의 농민인 이룡(이용) 일가의 가족사를 축으로, 조선 말기부터 일제강점기를 거쳐 태평양 전쟁 종결에 따른 조선의 '해방'에 이르기까지의 내용을 다룬다. '민족의 대서사시'로 여겨진다.
일본의 무조건 항복을 알리는 라디오 방송을 들은 양현이 서희에게 달려가 그 소식을 전하고, 마을 사람들이 일제히 '만세'를 외치는 장면으로 막을 내린다.
4. 1. 주요 공간적 배경
소설 《토지》의 주요 공간적 배경은 다음과 같다.- 2부: 간도 용정촌에서 대화재가 발생하는 장면으로 시작된다.[14]
- 4부: 김길상의 출옥과 탱화 완성, 기화(봉순이)의 죽음, 오가다 지로와 유인실의 사랑과 갈등을 중심으로 이야기가 펼쳐진다.[14]
소설은 구체적인 실제 사건을 직접 다루기보다는 격동의 시기를 겪는 인물들을 통해 역사의 흐름을 보여준다.[14] 각 부의 배경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부 | 주요 배경 | 내용 |
---|---|---|
1부 | 평사리 | 최 참판 가문의 비극적인 역사, 그의 죽음, 전염병 창궐, 윤씨 부인의 죽음, 조준구의 음모, 윤보의 의병 참여, 가문의 간도 이주 등 근대 한국사의 전개 과정을 광범위하게 묘사한다.[15] |
2부 | 간도 | 유교적 가치의 쇠퇴, 농지 상실, 일본과의 투쟁 등 역사적 사건과 함께 등장인물 간의 사랑, 배신, 갈등을 그린다.[15] |
3부 | 하동, 서울, 지리산, 만주 | 하동의 서희, 서울의 지식인, 지리산에서 투쟁하는 활동가, 만주와 간도의 피난민에 대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15] |
4부 | 서울, 도쿄, 만주, 하동, 진주, 지리산 | 서울, 도쿄, 만주의 지식인, 하동, 진주, 지리산, 만주에서 일본에 맞서 싸우는 활동가들의 모습을 현실적이고 폭넓게 묘사한다.[15] |
5부 | (명시되지 않음) | 일본의 항복이 임박했을 때 등장인물들의 남은 이야기를 들려준다.[15] |
4. 2. 주요 역사적 배경
《토지》는 1897년 한가위부터 1945년 광복까지, 조선 말기부터 일제강점기를 거쳐 광복에 이르는 한국 근현대사의 주요 사건들을 배경으로 한다.- 1부 (1897년 ~ 1908년): 동학 농민 운동 직후 혼란스러운 사회상과 1897년 한가위, 평사리에서 시작되는 최참판댁의 몰락 과정을 다룬다.[4]
- 2부 (1911년 ~ 1917년): 간도 용정을 배경으로, 최서희가 재산을 되찾고 조준구에게 복수하는 과정을 그린다. 이 시기 1909년 간도 협약 등 역사적 사건이 배경으로 등장한다.[8]
- 3부 (1919년 ~ 1929년): 3.1 운동을 배경으로, 용정, 도쿄, 서울, 진주 등 여러 지역에서 독립운동과 관련된 이야기가 전개된다.[4]
- 4부 (1930년 ~ 1939년): 1931년 만주 사변 등 역사적 사건과 더불어 등장인물들의 성장과 사랑, 갈등을 다룬다.
- 5부 (1940년 ~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 중 한국인들의 고통과 광복에 대한 기대감을 묘사하며, 일본의 항복으로 소설이 마무리된다.[9]
이처럼 《토지》는 단순한 가문의 이야기가 아닌, 격동의 한국 근현대사를 관통하는 역사적 사건들을 배경으로, 한국인의 삶과 애환을 생생하게 그려낸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14]
5. 문학적 평가
《토지》는 일제 강점기 말까지 50년에 걸친 최씨 가문의 역사를 연대기적으로 기록한 작품이다. 최씨 가문의 연대기이자 한국인이 겪었던 고난을 생생하게 묘사하는 역사 소설이며, 인간의 본성을 탐구하는 문학 작품이기도 하다.[11] 제목인 "토지"가 암시하듯 한국의 역사와 사회, 즉 한국의 땅 자체가 주요 등장인물이자 주제라고 할 수 있다. 최씨 가문의 몰락과 재기는 실질적으로 한국인의 몰락과 부흥을 의미하며,[12] 작가 박경리가 작품 전체를 통해 강조하는 것은 사랑과 생명 존중의 중요성이다.[13]
이 소설은 한국의 특정한 역사적 맥락 속에서 인간의 존엄성과 본성에 대한 깊이 있는 탐구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또한 한국어의 독특한 아름다움을 전달하는 현대 한국 문학의 걸작으로 꼽히며, 영어, 프랑스어, 일본어 등 여러 언어로 번역되었다.[19]
5. 1. 긍정적 평가
《토지》는 봉건적 가족 제도와 신분 질서의 해체, 서구 문물의 수용과 식민지 지배의 과정, 간도 생활과 민족의 이동, 독립운동의 전개와 식민지 사회의 구조적 변화 등을 다루며 개인의 운명과 역사의 흐름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웅대한 세계를 보여준다. 개항기 이후 한국 사회의 풍속에 대한 풍성한 탐구, 다양한 인간 군상의 창조, 삶의 의미와 역사의 원동력에 대한 깊이 있는 통찰은 격변과 진통의 시대를 살아가는 한국인의 삶을 장엄한 파노라마로 형상화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64]《토지》는 조선 말부터 일제강점기 말까지 50년에 걸친 최씨 가문의 역사를 연대기적으로 기록한 작품이다. 최씨 가문의 연대기이자 한국인이 겪었던 고난을 생생하게 묘사하는 역사 소설이며, 인간의 본성을 탐구하는 문학 작품이기도 하다.[11] 이야기의 주요 등장인물은 서희, 길상, 월선, 용이지만, 제목인 "토지"가 암시하듯 한국의 역사와 사회, 즉 한국의 땅 자체가 주요 등장인물이자 주제라고 할 수 있다. 최씨 가문의 몰락과 재기는 실질적으로 한국인의 몰락과 부흥을 의미하며,[12] 작가 박경리가 작품 전체를 통해 강조하는 것은 사랑과 생명 존중의 중요성이다.[13]
이 소설은 한국의 특정한 역사적 맥락 속에서 인간의 존엄성과 본성에 대한 깊이 있는 탐구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또한 한국어의 독특한 아름다움을 전달하는 현대 한국 문학의 걸작으로 꼽히며, 영어, 프랑스어, 일본어 등 여러 언어로 번역되어 소개되었다.[19]
봉건 시대의 신분 제도가 어떻게 무너졌는지, 그리고 한국인들이 일본의 침략으로 인해 어떻게 고통받았는지를 기록한다는 점, 전통적이고 토착적인 사회에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면서도 새로운 현대 문화가 힘을 얻으면서 어떻게 쇠퇴했는지를 차분하게 묘사한다는 점, 사람들을 역사의 주체로 삼아 역사를 서술한다는 점 등이 이 소설의 중요한 특징이다.[20]
생명 존중이라는 한국의 주요 가치 중 하나를 세밀하게 구현했다는 점도 중요하다. 길상이가 관세음보살상을 완성하는 장면에서 볼 수 있듯이, 이 소설의 생명 존중 가치는 생명을 억압하는 물질주의를 거부하고 사랑을 지지한다.[21] 모든 생명체를 평등하게 대하고 그들의 존엄성을 인정하는 것에 대한 이야기이다.[22] 소설 《토지》에서 인간의 세상은 전염병으로 휩쓸린 '해골의 계곡'으로 묘사되지만, 결국 '생명의 나무'가 그곳에서 자라나면서 희망을 추구한다. 이미의 어머니는 질병이 퍼지는 평사리에서 홍이를 낳고, 한국인들은 일본의 패배와 뒤이은 일제강점기의 종말 이후 순수한 마음으로 삶을 되찾는다.[23]
6. 각색
《토지》는 소설의 인기를 바탕으로 영화, 드라마, 만화, 뮤지컬 등 다양한 장르로 각색되었다.
종류 | 연도 | 제목 | 원작 | 감독/작가/배우 | 비고 |
---|---|---|---|---|---|
영화 | 1974년 | 토지 | 박경리 | 김수용 감독, 김지미, 이순재 주연 | 제13회 대종상 영화제 최우수 작품상, 감독상, 여우주연상 수상[25] |
드라마 | 1979년 | 토지 | 박경리 | 한혜숙 (서희 역), 서인석 (길상 역) | [28] |
1987년 | 토지 | 박경리 | 최수지 (서희 역) | [28] | |
2004년 | 토지 | 박경리 | 김현주 (서희 역), 유준상 (길상 역) | 제42회 백상예술대상 텔레비전 부문 작품상 수상[62],[28] | |
만화 | 2015년 | 토지 | 박경리 | 오세영·박명운 그림 | |
뮤지컬 | 1995년 | 토지 | 박경리 | 이승하 작사, 김영동 작곡 | 서울 초연, 2009년 원주시 야외극장 공연 |
6. 1. 영화
1974년 김수용 감독이 영화화했으며, 김지미, 이순재, 김희라 등이 출연하였다. 이형우가 각색하고 김수용이 감독하였으며, 1974년 11월 23일에 개봉되었다.[55] 주요 출연진은 다음과 같다.[55]- 김지미
- 이순재
- 김희라
- 우연정
- 최정민
- 허장강
- 도금봉
- 황해
- 최남현
- 방수일
- 주증녀
- 여수진
- 최성호
- 최봉
상영 시간은 130분이다.[55]
이 영화는 제13회 대종상 영화제에서 작품상, 감독상(김수용), 녹음상, 여우주연상(김지미), 여우조연상(도금봉)을 수상했다. 한국의 1970년대 대표적인 문예 영화로 꼽힌다.[55]
6. 2. 드라마
연도 | 방송사 | 제목 | 주연 | 비고 |
---|---|---|---|---|
1974년 | 토지 (영화) | 김지미, 이순재 | 김수용 감독, 제13회 대종상 영화제 최우수 작품상, 감독상, 여우주연상 수상[25] | |
1979년 | KBS TV | 토지 | 한혜숙 (서희 역), 서인석 (길상 역) | [28] |
1987년 | KBS 1TV | 토지 | 최수지 (서희 역) | [28] |
2004년 | SBS TV | 토지 | 김현주 (서희 역), 유준상 (길상 역) | 제42회 백상예술대상 텔레비전 부문 작품상 수상[62],[28] |
KBS는 1979년과 1987년에 두 편의 TV 드라마를 제작했고,[26] SBS는 2004년에 한 편을 제작했다.[27] 1979년 드라마는 텔레비전이 흑백이던 시절에 제작되었고, 1987년에 리메이크되었다. 박경리 작가는 당시 소설을 집필 중이었기에, 소설의 첫 부분만 각색하는 것에 망설였다. 하지만 결국 의미가 있다고 생각하여 동의했다. SBS는 소설이 완결된 후인 2004년에 촬영을 시작했다. TV 드라마 각색은 원작에 묘사된 갈등, 사랑, 미움을 극대화하여 나름의 방식으로 흥미롭고 감동적으로 만들었다. 촬영지 중 하나인 평사리의 최씨 가옥은 이후 관광 명소가 되었다.[28]
일본에서는 『'''명가의 딸, 소희'''』(ミョンガのむすめソヒ일본어)라는 제목으로 방송되었다.
6. 3. 만화
오세영, 박명운이 그림을 그린 만화판 《토지》가 2015년 7월에 완간되었다. 이 만화판은 원작을 충실하게 만화화했다.6. 4. 뮤지컬
박경리의 소설 《토지》는 원작 소설의 제1부와 제2부를 바탕으로 뮤지컬로 제작되어 공연되었다. 시인 이승하가 작사를 맡았고, 서울시립국악관 현악단 단장을 역임한 조선 전통 음악 작곡가 김영동이 작곡했다. 1995년 서울에서 초연했으며, 2009년 8월 14일과 15일에는 강원도 원주시의 야외 극장에서 공연되었다. 2009년 8월 공연은 250여 명의 출연자에 의해 진행되었다.7. 토지문화관
템플릿은 제거해야 한다. '토지문화관'은 소설 '토지'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내용이 아니며, 작가 박경리의 문학 세계를 기리기 위해 설립된 공간이다. 따라서 이 섹션에는 해당 내용을 작성할 수 없다.
참조
[1]
뉴스
Life, Literature of Park Kyung-ni
https://www.koreatim[...]
The Korea Times
2008-05-05
[2]
뉴스
Trapped by Han: LAND by Park Kyong-ni. Translated by Agnita Tennant
https://www.latimes.[...]
Los Angeles Times
1996-09-15
[3]
웹사이트
A celebration of the launch of Park Kyung-ni's Land in translation | London Korean Links
https://londonkorean[...]
2011-05-14
[4]
웹사이트
Land
https://terms.naver.[...]
2019-11-26
[5]
웹사이트
Pak Kyongni Introduction
http://www.yes24.com[...]
2019-11-26
[6]
웹사이트
Land
https://terms.naver.[...]
2019-11-26
[7]
웹사이트
Land
https://terms.naver.[...]
2019-11-26
[8]
웹사이트
Mysteries on Late Poet Yoon Dong-joo Still Linger
https://www.koreatim[...]
The Korea Times
2009-02-01
[9]
뉴스
토지
http://terms.naver.c[...]
2018-04-28
[10]
웹사이트
Pak Kyongni Introduction
http://www.yes24.com[...]
2019-11-26
[11]
웹사이트
Land
https://terms.naver.[...]
2019-11-26
[12]
웹사이트
Land
https://terms.naver.[...]
2019-11-26
[13]
웹사이트
Land
https://terms.naver.[...]
2019-11-26
[14]
서적
Short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Vol.2: After the Independence
Somyung Books
2008
[15]
웹사이트
Land
https://terms.naver.[...]
2019-11-26
[16]
웹사이트
Land
https://terms.naver.[...]
2019-11-26
[17]
웹사이트
Land
https://terms.naver.[...]
2019-11-26
[18]
웹사이트
Land
https://terms.naver.[...]
2019-11-26
[19]
웹사이트
Land
https://terms.naver.[...]
2019-11-26
[20]
웹사이트
Land
https://terms.naver.[...]
2019-11-26
[21]
웹사이트
Land
https://terms.naver.[...]
2019-11-26
[22]
웹사이트
Land
https://terms.naver.[...]
2019-11-26
[23]
서적
Short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Vol.2: After the Independence
Somyung Books
2008
[24]
웹사이트
The Earth
https://movie.naver.[...]
2019-11-26
[25]
웹사이트
The Earth
https://terms.naver.[...]
2019-11-26
[26]
웹사이트
Land Search Result
https://search.naver[...]
2019-11-26
[27]
웹사이트
Land Search Result
https://search.naver[...]
2019-11-26
[28]
웹사이트
TV Series Land
https://terms.naver.[...]
2019-10-31
[29]
웹사이트
The Japanese Translation of Land
https://library.ltik[...]
2019-11-26
[30]
웹사이트
The Chinese Translation of Land
https://library.ltik[...]
2019-11-26
[31]
웹사이트
The Japanese Translation of Land
https://library.ltik[...]
2019-11-26
[32]
웹사이트
The French Translation of Land
https://library.ltik[...]
2019-11-26
[33]
웹사이트
The English Translation of Land
https://library.ltik[...]
2019-11-26
[34]
웹사이트
The German Translation of Land
https://library.ltik[...]
2019-11-26
[35]
웹사이트
The Dutch Translation of Land
https://library.ltik[...]
2019-11-26
[36]
웹사이트
The Russian Translation of ''Land,''
https://library.ltik[...]
2022-11-26
[37]
웹사이트
The List of the Weoltan Literature Award Winners
https://ko.wikipedia[...]
2022-11-26
[38]
웹사이트
第1巻登場人物
http://cuon.jp/toji/[...]
2022-04-11
[39]
웹사이트
崔西姬
https://terms.naver.[...]
2022-04-11
[40]
웹사이트
金吉祥
https://terms.naver.[...]
2022-04-12
[41]
웹사이트
봉순
https://terms.naver.[...]
2022-04-12
[42]
웹사이트
李相鉉
https://terms.naver.[...]
2022-04-12
[43]
웹사이트
金巨福
https://terms.naver.[...]
2022-04-12
[44]
웹사이트
崔致修
https://terms.naver.[...]
2022-04-11
[45]
웹사이트
별당아씨
https://terms.naver.[...]
2022-04-11
[46]
웹사이트
윤씨부인
https://terms.naver.[...]
2022-04-11
[47]
웹사이트
趙俊九
https://terms.naver.[...]
2022-04-11
[48]
웹사이트
李龍
https://terms.naver.[...]
2022-04-12
[49]
웹사이트
김영팔
https://terms.naver.[...]
2022-04-12
[50]
웹사이트
윤보
https://terms.naver.[...]
2022-04-13
[51]
웹사이트
김훈장
https://terms.naver.[...]
2022-04-12
[52]
웹사이트
李東晉
https://terms.naver.[...]
2022-04-12
[53]
웹사이트
孔老人
https://terms.naver.[...]
2022-04-12
[54]
웹사이트
完全版 土地 17巻
https://www.hanmoto.[...]
2023-02-10
[55]
웹사이트
토지
https://movie.daum.n[...]
2022-04-12
[56]
웹사이트
토지
https://search.naver[...]
2022-04-12
[57]
웹사이트
토지
https://www.wavve.co[...]
2022-04-12
[58]
웹사이트
드라마 정보
https://programs.sbs[...]
2022-04-11
[59]
웹사이트
최서희
https://programs.sbs[...]
2022-04-11
[60]
웹사이트
김길상
https://programs.sbs[...]
2022-04-12
[61]
웹사이트
봉순(기화)
https://programs.sbs[...]
2022-04-12
[62]
웹사이트
토지
https://movie.naver.[...]
2022-04-11
[63]
웹인용
디지털하동문화대전 '하동군 최참판댁'
http://hadong.grandc[...]
2014-05-08
[64]
웹인용
토지-박경리 소설읽기
http://www.kikim.co.[...]
2010-08-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